JavaScript

복합 대입연산자 += -= 증감연산자 ++전위 후위

낮햇볕 2022. 2. 16. 14:42

복합 대입연산자 : =

자료형에 적용하는 기본연산자와 = 연산자를 함께 사용

사친연산자 대입연산자 함께사용

= 값을 집어넣어줄때 사용

대입연산자 

num1 = 100;

100

 

 

== 같다 연산자

=연산자는 대입한다

 

+= 숫자덧셈 

숫자더한후 대입

 

num1 =100;

100

num1 += 10;

110

num1 = num1+10; 과같다

대입연산자 기준으로 오른쪽 10부터 시작 110먼저들어오고 

위의 num1 += 10;에들어간 110 들어간값을 110+10 으로 120은 num1 처음 것에 들어감

num1+10에서 num1이 없어지고  +=이들어간다

 

-= 숫자뺄셈

숫자를 뺀후 대입

num = 10;

num -= 1;

9

num = num-1 과 같다

 

*= 숫자곱셈

숫자곱셈 후 대입

num = 2;

num *= 2;

4

num = mun*2 같다

/= 숫자나눗셈

숫자나눗셈 후 대입

num = 6;

num /= 3;

num = num / 3과 같다

 


  //복합연산자

let step = 2; //2씩증가
console.log(step += 2);

4
console.log(step = step+2);

4+2 여서 6
//자기자신의 변수에게 2씩더해주는 표현식
console.log(step -= 2);

6-2 여서 4
console.log(step *= 2);

4*2여서 8
console.log(step /= 2);

8/2여서 4

 

증감연산자 : 1씩 + , 1씩 -

단항연산자로 변수 앞과 뒤에사용한다 단항:항이 하나일때 사용할수있는 연산자

숫자를 사용 못하고 변수에 사용가능하다 1씩증가하거나 감소하고 싶을때사용한다

주로 반복문에 많이 사용한다

 

변수++ 

기존변수값에 1을 더한다(후위)

let i =9;
i++
9
i
10

후위는 i++하고 i를 입력해줘야 비로소 10이 나오게된다

 

 

++변수

기존 변수 값에 1을 더한다(전위)

let t = 8;

++t

9

전위는 ++t를 바로 입력하면 9가 바로나오게된다 

 

 

변수--

기본 변수값에 1을 뺀다(후위)

let r = 5;

r

5

r--

5

r

4

 

 

--변수

기존 변수 값에 1을뺀다(전위)

let q =20 ;
--q
19

 

후위 : 값을 더하거나 뺀걸 입력하면 바로값이 나오지 않고 재입력하면 나중에나온다

전위 : 값을 더하거나 뺀걸 입력하면 바로 값이 나오게된다

 

 


let oneCount =0;
oneCount++;  // 
console.log(oneCount);

0+1
console.log(oneCount++);//후위증감연산자 ++해줬지만 나중에 2로 출력되어서 현재는 출력하면1나옴

1

console.log(oneCount);//2 위에 ++을 해주었기 때문

2

console.log(++oneCount)//전위 값올라간뒤 바로 3적용

3